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윌리엄 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윌리엄 페리는 미국의 국방 관료이자 학자이다. 1927년 펜실베이니아주 벤더그리프트에서 태어나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국방부 연구·기술 담당 차관(1977-1981), 국방부 차관(1993-1994)을 거쳐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1994-1997)을 역임했다.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퇴임 후에는 핵무기 감축 및 폐기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핵 위협 감소 구상(Nuclear Threat Initiative) 창립 이사로 활동하며, '핵 없는 세계'를 주창했다. 1997년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방부 부장관 - 프랭크 칼루치
    프랭크 칼루치는 미국의 정계 인사이자 기업인으로, 국방부 장관, 국가 안보 보좌관, CIA 부국장 등을 역임했으며, 냉전 종식에 기여하고, 기업 경영과 싱크탱크 활동을 하다가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미국의 국방부 부장관 - 사이러스 밴스
    사이러스 밴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에서 국방부 요직을 거쳐 카터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내며 파나마 운하 조약과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이란 인질 사태 해결 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사임했다.
  • 빌 클린턴 행정부의 각료 - 앤드루 쿠오모
    앤드루 쿠오모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요양원 사망자 은폐 의혹 및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빌 클린턴 행정부의 각료 - 앨 고어
    앨 고어는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을 전공하고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환경 문제에 기여하여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국방장관 - 도널드 럼즈펠드
    도널드 럼즈펠드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포드와 부시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지휘했고, '알려진 알려진 것들'이라는 발언과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포로 학대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미국의 국방장관 - 딕 체니
    딕 체니는 공화당 소속으로 하원의원, 백악관 비서실장,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고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제46대 부통령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이다.
윌리엄 페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페리 공식 국방부 사진 (수정됨)
1994년 공식 사진
이름윌리엄 제임스 페리
출생일1927년 10월 11일
출생지펜실베이니아주 밴더그리프트
사망일알려지지 않음
사망지알려지지 않음
소속 정당민주당
배우자레오닐라 그린 (2017년 사망)
자녀5명
학력스탠퍼드 대학교 (BA, MA)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PhD)
군사 복무
군 종류미국 육군
복무 기간1945–1947 (현역)
1950–1955 (예비역)
부대미국 육군 공병대
계급[[File:US-O1_insignia.svg|10px]] 예비 소위
공직
직위제19대 미국 국방부 장관
대통령빌 클린턴
부관존 M. 도이치
존 P. 화이트
임기 시작1994년 2월 3일
임기 종료1997년 1월 23일
이전레스 애스핀
이후윌리엄 코언
직위2제23대 미국 국방부 부장관
대통령2빌 클린턴
임기 시작21993년 3월 5일
임기 종료21994년 2월 3일
이전2도널드 J. 앳우드 주니어
이후2존 M. 도이치
직위3국방부 연구 및 공학 담당 차관
대통령3지미 카터
임기 시작31977년 4월 11일
임기 종료31981년 1월 20일
이전3맬컴 R. 커리
이후3리처드 D. 디라우어
기타 정보
웹사이트FSI CISAC - 윌리엄 J. 페리
계획 변경: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
예방적 방어 프로젝트
윌리엄 페리 소개

2. 생애

1994년 '외과수술적 타격'(Surgical Strike, 또는 정밀타격)으로 북한 핵시설을 타격하는 강경책을 입안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80] 1999년 미국 정부의 북핵 조정관으로 북한을 두 차례 방문하여 '페리 해결안'(Perry Process)을 만들었다. 북한은 벼랑끝 전술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핵합의에 임했고, 결국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믿을 수 없다며, 북한이 합의를 잘 이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번복하여 북한의 분노를 샀다.[8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7년 10월 11일 펜실베이니아주 반더그리프트에서 태어났다.[8] 컬버 군사 학교에 다녔으나 졸업하지는 못했다. 1945년 버틀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1947년까지 사병으로 복무했으며, 일본 점령에도 참여했다.[8][9] 일본 도쿄에서 약 2개월, 오키나와현에서 약 1년 반 동안 체류했다. 오키나와에서는 오키나와 지도 제작 임무에 배속되어, 구 일본군이 삼각 측량으로 작성한 지도를 항공 사진을 통해 정확하고 상세하게 만드는 작업에 종사했다.[80]

제대 후 카네기 공과 대학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0년부터 1955년까지 미국 육군 예비군에서 ROTC를 통해 임관하여 복무했다.[8]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1949년)와 문학 석사 학위(1950년)를 받았고,[10] 1957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0][11]

2. 2. 초기 경력

1954년부터 1964년까지 페리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실바니아/GTE의 전자 방위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12]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는 방위 산업의 실베니아사 계열의 일렉트로닉 디펜스 래보라토리즈사(EDL, 현재의 GTE)에 입사하여 수석 수학 연구원이 되었다. 탄도 미사일의 원격 측정 사업에 종사했다. 4년 후 EDL의 수장이 되었고, 6년 후에는 스핀오프하여 일렉트로마그네틱 시스템즈 래보라토리즈사(ESL)를 창립했다.

1964년부터 1977년까지는 그가 설립한 전자 회사인 전자기 시스템 연구소(ESL), 인코포레이티드의 사장을 역임했다.[12] 그는 당시 제안된 Rhyolite/Aquacade 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소련에 대한 신호 정보를 전체 RF 배경에서 추출하는 기술적 타당성을 입증하는 데 기여했다.[13] 1967년에는 미국 국방부의 기술 컨설턴트로 고용되었다. 1960~70년대에는 본인의 기술 업체를 창업하여 경영하였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쿠바 미사일 위기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미사일 전력 차, 즉 미사일 갭을 해명하는 위원회에 참여했다. 미국의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미국의 미사일 전력이 소련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하마터면 핵에 의한 제3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갔던 쿠바 미사일 위기를 관계자 중 한 사람으로서 가까이에서 경험한 것이 "핵 없는 세계"를 목표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의 능력을 미 국방부로부터 인정받아 지미 카터 대통령 시절인 1977년부터 4년 동안 국방성의 '연구-기술 담당 차관'(Undersecretary of Defense for Research and Engineering)으로 재직했다. 주요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획득을 직접 관장하는 직책이었는데 그의 재직 시절에 개발을 주도했던 무기들 가운데는 그 유명한 스텔스 전폭기도 있었다.

3. 정치 경력

1994년 북한이 실험용 흑연감속로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겠다고 하자, 페리는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지만, 군사적 뒷받침의 필요성도 느껴 영변 핵시설에 대한 외과 수술식 타격을 비밀리에 검토했다.[80]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을 특사로 파견하여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하는 대신 미국, 일본, 한국이 중심이 되어 2기의 경수로를 건설하는 '미·북 제네바 합의'가 최종 협상 결과가 되었다.

1999년 미국 정부의 북핵 조정관으로 북한을 두 차례 방문하여 '페리 해결안'(Perry Process)을 만들었다. 북한은 벼랑끝 전술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핵 합의에 임했고, 결국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믿을 수 없다며, 북한의 합의 이행에도 불구하고 이를 뒤집어 북한의 분노를 사게 되었다.[80]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쿠바 미사일 위기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미사일 전력 차를 해명하는 위원회에 참여했다. 미국의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미국의 미사일 전력이 소련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1991년 소련 붕괴 당시, 구 소련으로부터의 핵 확산에 대한 대책으로 샘 넌과 리처드 루거와 함께 구 소련의 핵 관련 시설을 시찰했다. 이를 토대로 협동적 위협 감축 계획(CTR)이 제정되어, 미국 주도 하에 구 소련의 핵무기 폐기가 진행되었다.

구 소련권 붕괴에 따라 동유럽의 안정이 과제가 되었다. NATO는 동유럽으로 확대하려 했지만, NATO 확대를 경계하던 신생 러시아의 우려를 불식시킬 필요가 있었다. 페리 국방장관은 NATO 가입 전 단계로서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을 추진하여 러시아의 PFP 참여를 이끌어내어 동유럽 안정화에 성공했다.

1996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리덩후이가 우세하다는 정보가 전해지자, 중국 인민 해방군은 대만 해역을 향해 미사일 훈련을 실시했다. 미국은 원자력 항공모함 니미츠와 요코스카를 모항으로 하는 항공모함 인디펜던스를 대만 주변에 급파했다. 2척의 항공모함 파견 발표로 중국 측의 미사일 훈련이 종료되었다.

1996년 4월 빌 클린턴 대통령 방일시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와 회담을 갖고, 냉전 종결 후의 일본과 미국의 안보 체제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미·일 안보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후텐마 비행장 반환도 이때 결정되었다.

1994년 10월,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처음으로 국방장관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1996년에는 천안문 사태 이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중국의 츠하오톈 국방부장을 미국으로 초청하여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교류를 추진했다.

3. 1. 국방부 연구·기술 담당 차관 (1977-1981)

지미 카터 대통령 시절인 1977년부터 4년 동안 국방성 연구·기술 담당 차관(Undersecretary of Defense for Research and Engineering)으로 재직했다. 주요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획득을 직접 관장하는 직책이었는데, 재직 시절에 개발을 주도했던 무기들 가운데는 스텔스 전폭기도 있었다.[14]

해럴드 브라운 미국 국방장관의 요청으로 연구·공학 담당 국방 차관에 취임하여 오프셋 전략(소련에 수적으로 열세인 미국군의 전력을 증강하기 위해 하이테크를 활용)을 추진했다. 추진한 기술에는 정밀 유도 폭탄, GPS(전 지구 측위 시스템), DARPA넷(인터넷의 전신)이 있다.[15]

이후 걸프 전쟁에서 위력을 발휘하게 되는 스텔스기인 F-117 항공기도 페리 국방 차관의 지휘 아래 개발되었다. 록히드에 개발을 재촉하여, 통상 12년에서 15년이 걸리는 개발 기간을 단축해 4년 만에 실전 배치했다.

3. 2. 국방부 차관 (1993-1994)

1993년 2월 3일 빌 클린턴의 지명으로 페리는 국방부 차관으로 펜타곤에 복귀했다.[20] 1993년 3월 5일, 제22대 국방부 차관에 임명되었다.

1993년 가을, 페리와 그의 상관인 Les Aspin은 24명의 방위산업체 임원들을 "비서관 집무실 옆 식당"에 초대했다. 이 자리에서 페리와 Aspin은 펜타곤 예산 삭감으로 인해 참석한 계약업체의 최소 절반이 위태로워질 것이므로, 더 적고 더 큰 회사로 합병할 것을 촉구했다. 이 행사는 "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1][22][23][24] 그는 낸 루거 법에 따라 러시아 연방의 구 소련 핵무기 폐기 사업을 지원했다.

3. 3. 국방부 장관 (1994-1997)

레스 애스핀 국방장관이 1년 만에 사임하면서, 윌리엄 페리는 1994년 2월 3일 국방장관에 취임했다. 그는 취임 청문회를 거쳐 만장일치(97-0)로 인준을 받았다.[25] 페리는 실무형 관리자로서 국방부 내부 운영과 국제 안보 문제에 모두 관심을 기울였다.[2][26][27]

페리는 냉전 종식 후 시대의 국가 안보 정책 지침으로 "예방 방위"를 채택했다.[9][28][29]

국방 예산 수립과 의회 통과는 페리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였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대규모 국방 예산 부족 문제는 전임자 레스 애스핀의 사임 원인 중 하나였으며, 페리 취임 후에도 계속되었다.[32] 페리는 1995년 예산 요청을 "냉전 이후 예산"이라 칭하며, 국방 규모 축소와 인프라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2]

1995 회계 연도에 페리는 2,522억 달러를 요청했으며, 여기에는 새로운 항공모함, 3척의 이지스 순양함, 6대의 C-17 수송기 등 다양한 무기 시스템에 대한 자금이 포함되었다.[33] 의회는 최종적으로 2,539억 달러를 승인했다.[2]

1996 회계 연도에 페리는 2,460억 달러를 요청했다.[35] 그러나 의회와 행정부 간의 예산 갈등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2,544억 달러가 승인되었다.[2]

국가 미사일 방어 시스템 문제는 페리가 겪었던 예산 투쟁의 주요 쟁점이었다. 페리는 전략 방어 구상 프로그램 부활에 반대하며, 전장 미사일 방어와 전력 현대화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1997 회계 연도에 클린턴 행정부는 2,426억 달러의 국방 예산을 요청했다. 의회는 최종적으로 2,440억 달러를 승인했다.[2]

페리는 국방 획득 정책 및 절차를 재구조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10만 달러 미만 구매 절차 간소화, 상용 제품 활용, 군사 계약 및 비즈니스 절차의 상업 관행 부합, 구식 규정 제거, 민간 기업 데이터 교환 방식 도입 등 다양한 획득 절차 변경을 제안했다.

1994년 6월, 페리는 군에 상용 기성품 구매를 지시하는 지침에 서명했다.[38] 1996년 3월에는 상업적 관행과 제품을 강조하는 새로운 국방부 포괄적 획득 정책을 승인했다.[2]

페리의 정책은 방위 산업 합병에도 영향을 미쳤다. 1995년 록히드 코퍼레이션(Lockheed Corporation)과 마틴 마리에타(Martin Marietta)의 합병으로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이 탄생했으며, 1994년 노스롭 코퍼레이션(Northrop Corporation)과 그루먼 코퍼레이션(Grumman Corporation)의 합병으로 노스롭 그러먼(Northrop Grumman)이 설립되었다.[39]

페리는 기지 폐쇄 및 재배치를 통해 비용 절감을 추진했다. 1995년 3월, 그는 146개 조치를 권고하는 국방부의 1995년 기지 재배치 및 폐쇄 (BRAC) 계획을 발표했다.[2]

구 소련권 붕괴 이후, 페리는 동유럽 안정을 위해 NATO 확대를 추진하면서도 러시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러시아의 PFP 참여를 이끌어내 동유럽 안정화에 기여했다.

1994년 북한의 핵 개발 위협에 대응하여, 페리는 외교적 해결을 모색하는 동시에 북한 핵 시설에 대한 외과 수술식 타격을 비밀리에 검토했다. 영변의 핵연료 재처리 시설, 5메가와트 실험로, 사용후 핵연료 보관 풀 등이 검토 대상이었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이후, 북한 핵 개발 중단과 경수로 건설을 골자로 하는 '미·북 제네바 합의'가 체결되었다.

1996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 인민 해방군이 대만 해역에서 미사일 훈련을 실시하자, 미국은 원자력 항공모함 니미츠와 요코스카를 모항으로 하는 항공모함 인디펜던스를 대만 주변에 파견하여 대응했다.

1996년 4월, 빌 클린턴 대통령과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는 '미·일 안보 공동 선언'에 서명하고, 후텐마 비행장 반환을 결정했다.

페리는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이후 처음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한 국방장관이었으며, 1996년에는 츠하오톈 국방부장을 미국으로 초청하여 양국 간 군사 교류를 추진했다.

3. 3. 1. 주요 외교 및 안보 정책

1994년 외과수술적 타격(Surgical Strike, 또는 정밀타격)으로 북한 핵시설을 타격하는 강경책을 입안했다고 언론을 통해 알려졌으나, 이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 그는 1999년 미국 정부의 북핵 조정관으로 북한을 두 차례 방문하여 '페리 해결안'(Perry Process)을 만들었다. 북한은 벼랑끝 전술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핵 합의에 임했고, 결국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다음 미국 대통령 부시가 북한을 믿을 수 없다며, 북한이 합의를 잘 이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뒤집어 북한의 분노를 사게 되었다.[80]

페리는 냉전 종식 후 시대의 국가 안보 정책 지침으로 "예방 방위"를 채택했다.[9][28][29] 냉전 시대 미국은 안보 전략의 핵심 원칙으로 예방보다는 억지에 의존했다. 페리는 예방 전략의 세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위협의 발생을 막는다. 둘째, 실제로 발생한 위협을 억지한다. 셋째, 예방과 억지가 실패할 경우 군사력으로 위협을 격퇴한다.[30] 이 전략은 구 소련의 핵 복합체 감소를 위한 위협 감소 프로그램,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노력,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및 동맹 확대를 활용했으며, 필요할 경우 싸울 준비가 된 군사력과 무기 체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했다. 페리는 이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현대적이고 즉시 투입 가능한 군사력을 유지하여 동시에 두 개의 주요 지역 전쟁을 치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31]

페리는 외교 정책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으나, 취임 며칠 만에 유럽 국방 장관들과 회담하기 위해 워싱턴 D.C.를 떠나 첫 해외 순방길에 올랐다. 1994년 4월, 《이코노미스트》는 "페리페테틱"이라는 기사에서 "국무 장관처럼 말하기 시작한 사람은 사실 국방 장관인 윌리엄 페리이다. ... 그는 곳곳에서 나타나며 전략 사업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페리는 3년 임기 동안 그 이전의 어떤 장관보다도 많은 해외 순방을 했으며, 아메리카 대륙의 다른 국가들에 주목하여 1995년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에서 제1차 아메리카 국방 장관 회의를 주최하고, 1996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제2차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순방 중에 군대의 일반 사병들과의 개인적인 접촉을 강조했으며, 잦은 방문은 임기 동안 발생한 다수의 외교 위기, 특히 미군 배치를 필요로 하는 위기에 대한 요구를 반영했다.

페리는 러시아의 개혁 운동이 성공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인식했지만, 모스크바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전 소련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군사 협력과 지원을 통해 그들의 핵무기 폐기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의 핵무기 해체 자금을 제공하는 1992년 넌-루가 협력 위협 감소법(넌-루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핵 위협을 감소시켰다. 1996년 6월 페리는 부다페스트 안보 보장 각서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핵탄두를 러시아로 이전하는 과정을 참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방문했다. 당시 러시아 외부에 남아 있는 유일한 구 소련 미사일은 벨라루스에 있었다. 페리는 1996년에 완료된 START II 조약의 미국 비준을 지지했으며, 1996년 10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국가 두마 회의에서 조약 비준을 촉구했다.

아시아에서 페리는 캐스퍼 와인버거 전 국방장관처럼 중화인민공화국일본 모두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이후 중국을 방문한 최초의 국방 장관이었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무기 해외 판매 및 인권 유린과 같은 문제들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군사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지만, 중국이 타이완을 위협했고, 1996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직전인 1996년 3월, 미국은 중국에 맞서기 위해 두 개의 항공모함 전단을 해당 지역으로 파견했다.[2]

1995년, 일본 오키나와현에 주둔한 세 명의 미군 병사가 한 소녀를 강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미국이 오키나와 섬의 군사 주둔 규모를 줄여야 한다는 요구로 이어졌다. 1996년 말, 미국은 오키나와에서 사용하던 토지의 20%를 반환하고 주 오키나와 해병대 항공 기지 후텐마를 포함한 일부 군사 시설을 폐쇄하기로 합의했다. 일본은 오키나와에 주둔한 28,000명의 주일 미군 병력이 계속 주둔하는 데 동의했다.[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페리에게 또 다른 심각한 문제를 제기했다. 페리는 김일성 정권이 국제 원자력 기구(IAEA)에 핵 시설 감시를 허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정책을 지지했다. 1994년 2월부터 10월까지 미국은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했다. 페리는 3월에 미국이 핵무기 개발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전쟁이 임박하지는 않았지만, 가능한 충돌에 대비하여 군사적 준비를 명령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4~5개의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충분한 플루토늄을 함유한 핵 반응로 연료에서 사용후 핵연료의 국제 사찰을 허용하지 않으면 유엔 경제 제재를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1994년 5월 영변 핵시설에서 IAEA 사찰 특권을 부여하지 않은 채 핵연료를 제거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IAEA와 핵확산 금지 조약에서 탈퇴했다고 밝혔다.[2] 페리는 클린턴에게 세 가지 옵션을 제시했다. 유엔 대북 제재, 영변 시설에 대한 제한적인 F-117 공습, 또는 북한과의 전면전을 위한 대규모 군사 증강이었다. 세 가지 옵션 모두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 아래, 클린턴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김일성 간의 협상이 상황을 중재하기 전까지 군사 증강 옵션으로 기울었다.[40]

1994년 10월 21일, 미국과 북한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오랜 협상 끝에 제네바 합의에 서명했으며, 카터 전 대통령의 지원을 받았다. 미국, 일본, 대한민국 및 기타 지역 동맹국들은 북한에 기존 또는 부분적으로 건설된 핵무기용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총 40억달러의 비용으로 두 개의 경수로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북한은 이후 핵 시설을 국제 사찰에 개방하기로 합의했고, 미국은 무역 제한을 해제하고 중유발전에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페리는 이 협정이 한반도에서의 전쟁 위험과 북한 핵 프로그램의 지속보다 낫다고 생각했다. 그는 협정이 파기될 경우 의회에 주한 미군 증강을 위한 자금 지원을 요청하겠다고 약속했다. 위기 상황은 완화되었지만, 협정의 이행은 어려웠다. 페리의 임기 말까지 일부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았고, 남북한 간의 긴장은 수시로 고조되었다.[2] 그의 임기 후, 클린턴은 1998년 페리를 북한 정책 조정관으로 임명하여 김정일 정부와의 지속적인 외교적 관여를 권고했다.[41]

1994년 북한이 실험용 흑연감속로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겠다고 하자, 페리는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지만, 군사적 뒷받침의 필요성도 느껴 북한 핵 의혹 시설에 대한 공습, 이른바 외과 수술식 타격을 비밀리에 검토했다. 이때 공습 대상 시설로 검토된 곳은 영변에 있는 핵연료 재처리 시설, 5메가와트 실험로, 사용후 핵연료 보관 풀 등이다. 카터 전 대통령을 특사로 파견하여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하는 대신 미국, 일본, 한국이 중심이 되어 2기의 경수로를 건설하는 '미·북 제네바 합의'가 최종 협상 결과가 되었다.

민주화가 진전된 대만에서 1996년 3월, 사상 처음으로 직접 선거인 1996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가 치러졌다. 리덩후이가 우세하다는 정보가 전해지자, 중국 인민 해방군은 대만 해역을 향해 미사일 훈련을 실시했다. 미국은 인도양에서 원자력 항공모함 니미츠, 요코스카를 모항으로 하는 항공모함 인디펜던스를 급히 대만 주변에 파견했다. 2척의 항공모함 파견 발표가 효과를 발휘하여, 항공모함이 도착했을 때에는 중국 측의 미사일 훈련이 종료되었다. 이 타이완 해협 미사일 위기에 대한 미국의 대응과 관련하여, 페리는 국가안보회의에 대한 대안 없이 선택지를 하나만 제시했다고 회상하고 있다.

1996년 4월, 빌 클린턴 대통령이 방일하여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와 회담을 갖고, 냉전 종결 후의 일본과 미국의 안보 체제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미·일 안보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후텐마 비행장 반환도 이때 결정되었다. 페리는 조셉 나이 국방 차관보와 함께 2년 이상의 시간을 보내며 미·일 양측 관계자들의 어려움 해결 과정을 '나의 이력서'에서 회고하고 있다.

1994년 10월, 페리는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처음으로 국방장관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1996년에는 천안문 사태 이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중국의 츠하오톈 국방부장을 미국으로 초청하여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교류를 추진했다.

4. 퇴임 이후 활동

윌리엄 페리는 퇴임 이후 핵무기 감축 및 폐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98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페리를 북한 정책 조정관으로 임명했다. 페리 조정관은 대한민국(김대중 정부)·일본(오부치 정권)과 의견을 조율하여, 1999년 5월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했다. 이후 협상이 진전되어 2000년 10월 북한 김정일 총비서가 특사를 미국에 파견했다.[2]

1991년 소련 붕괴 당시, 구 소련으로부터의 핵 확산에 대한 대책은 긴급한 과제였다. 샘 넌과 리처드 루거와 함께 구 소련의 핵 관련 시설을 시찰했고, 이를 토대로 협동적 위협 감축 계획(CTR, 통칭 "넌-루거 법")이 제정되어 미국 주도 하에 구 소련의 핵무기 폐기가 진행되었다.[2]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쿠바 미사일 위기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미사일 전력 차를 해명하는 위원회에 참여했던 페리는, 미국의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미국의 미사일 전력이 소련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쿠바 미사일 위기를 가까이에서 경험한 것이 "핵 없는 세계"를 목표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2]

2007년 조지 슐츠, 헨리 키신저, 샘 넌과 함께 월스트리트 저널에 "핵 없는 세계를"이라는 제목의 의견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핵 없는 세계' 정책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핵의 전환점"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여 핵 폐기를 호소했다.[2]

2013년에는 핵무기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핵무기가 인류에게 가하는 증가하는 위협을 완화하기 위한 행동에 더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윌리엄 J. 페리 프로젝트를 설립했다.[57] 2015년에는 회고록 ''핵무기 위협의 나의 여정''(My Journey at the Nuclear Brink)을 출판했다.[58]

2021년 1월에는 핵무기 금지 조약 발효를 계기로 '불레틴 오브 더 아토믹 사이언티스츠'에 "미국은 '핵 없는 세계'라는 산 정상을 향한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최초의 핵 보유국이 되자"라고 기고했다.[2]

2014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페리

4. 1. 학계 및 기업 활동

1981년 미국 국방부를 떠난 후, 페리는 1985년까지 샌프란시스코의 투자 은행 회사인 햄브레히트 앤 퀴스트(Hambrecht & Quist)의 전무 이사를 맡았으며, 이 회사는 "첨단 기술 및 방위 산업체를 전문으로" 했다.[16]

1983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전략군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17] 그는 또한 패커드 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18]

1980년대 후반에는 테크놀로지 전략 얼라이언스의 설립자 및 회장, 스탠퍼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스탠퍼드 대학교 국제 안보 협력 센터의 예방 방위 프로젝트 공동 이사직을 역임했다.[19]

4. 2. 핵무기 감축 및 폐기 운동

윌리엄 페리는 핵, 화학, 생물학 무기의 위협 감소를 위해 노력하는 비영리, 초당파 단체인 핵 위협 감소 구상(Nuclear Threat Initiative)의 창립 이사이며, 현재 이사회 명예 이사이다. 원자 과학자 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의 후원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핵 재앙 방지를 위한 국제 룩셈부르크 포럼(International Luxembourg Forum on Preventing Nuclear Catastrophe)의 감독 위원회 위원이기도 하다.[2]

2007년, 페리는 조지 P. 슐츠,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샘 넌 전 상원의원과 함께 미국이 핵무기 감축 및 폐기의 선두에 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의 기고문 "핵무기 없는 세상"(A World Free of Nuclear Weapons)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게재되어 전 세계에 반향을 일으켰다. 이들은 핵 안보 프로젝트(Nuclear Security Project)를 만들어 핵 위험 감소를 위한 전 세계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그들의 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에 대한 지지를 구축했다. 핵 위협 감소 구상(Nuclear Threat Initiative)은 스탠포드 대학교의 후버 연구소와 협력하여 NSP의 조정자 역할을 한다.[2] 2010년, 이 네 사람은 다큐멘터리 핵 티핑 포인트(Nuclear Tipping Point)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콜린 파월 장군이 소개하고 마이클 더글라스가 내레이션을 맡았으며, 아놀드 슈워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과의 인터뷰가 포함되어 있다.[2]

2013년, 페리는 핵무기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핵무기가 인류에게 가하는 증가하는 위협을 완화하기 위한 행동에 더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윌리엄 J. 페리 프로젝트(William J. Perry Project)를 설립했다.[57] 이 프로젝트는 개인 기부금으로 지원되는 비영리 벤처이며 핵 위협 감소 구상(Nuclear Threat Initiative)의 후원을 받는다.[7]

2015년, 페리는 조지 P. 슐츠의 서문과 함께 회고록 ''핵무기 위협의 나의 여정''(My Journey at the Nuclear Brink)을 출판했다. 이 회고록은 핵 시대의 여명기에 등장하고 이후 핵 위협을 관리하는 그의 역할을 설명한다.[58] 그는 "오늘날, 어떤 종류의 핵 재앙의 위험은 냉전 시대보다 더 크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위험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경고했다.[59]

2016년 9월 30일, ''뉴욕 타임스''는 " ... 미국은 지상 배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전력을 안전하게 단계적으로 폐지할 수 있다 ..."는 페리의 의견 기사를 게재했다.[60] 페리는 ICBM이 자산보다는 부채로 변해가고 있다고 믿으며, 이것이 "상당한 비용"을 절약하고 우발적인 핵전쟁을 방지할 것이라고 말한다.[61]

페리는 테드 리우 하원 의원과 에드 마키 상원 의원이 제안한, 다른 국가에 대한 핵 선제 공격을 가하는 대통령의 권한을 제한하기 위해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지지했다.[62]

페리는 플라우셰어스 펀드(Ploughshares Fund)의 톰 콜리나와 함께 "The Button: The New Nuclear Arms Race and Presidential Power from Truman to Trump"이라는 책을 집필했다.[64] 이 책은 핵무기 안전을 위한 10가지 계획으로 결론을 맺는다.

# 대통령의 단독 핵무기 사용 권한을 종식한다.[65]

# 경고에 따른 발사를 금지한다.[66]

# 선제 사용 금지.[67]

# 모든 ICBM을 퇴역시키고 핵 재건축을 축소한다.[68]

# New START를 유지하고 더 나아간다.[69]

# 전략 미사일 방어를 제한한다.[70]

# 조약을 기다리지 않는다.[71]

# 북한이란과 외교적으로 관여한다.[72]

# 새로운 대중 운동에 핵무기를 포함시킨다.[73]

# 헌신적인 대통령을 선출한다.[74]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쿠바 미사일 위기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미사일 전력 차를 해명하는 위원회에 참여했던 페리는, 미국의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미국의 미사일 전력이 소련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하마터면 핵에 의한 제3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갔던 쿠바 미사일 위기를 관계자 중 한 사람으로서 가까이에서 경험한 것이 "핵 없는 세계"를 목표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2]

1991년 소련 붕괴 당시, 구 소련으로부터의 핵 확산에 대한 대책은 긴급한 과제였다. 샘 넌과 리처드 루거와 함께 구 소련의 핵 관련 시설을 시찰했다. 이 시찰을 토대로 협동적 위협 감축 계획(CTR, 통칭 "넌-루거 법")이 제정되어, 미국 주도 하에 구 소련의 핵무기 폐기가 진행되었다.[2]

1998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빌 클린턴 대통령은 페리를 북한 정책 조정관으로 임명했다. 페리 조정관은 대한민국(김대중 정부)·일본(오부치 정권)과 의견을 조율하여, 1999년 5월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했다. 이후 협상이 진전되어 2000년 10월 북한 김정일 총비서가 특사를 미국에 파견했다.[2]

2007년 1월 월스트리트 저널에 조지 슐츠, 헨리 키신저, 샘 넌과 함께 "핵 없는 세계를"이라는 제목의 의견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핵 없는 세계' 정책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핵의 전환점"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여 핵 폐기를 호소했다.[2]

2021년 1월에는 핵무기 금지 조약 발효를 계기로 '불레틴 오브 더 아토믹 사이언티스츠'에 "미국은 '핵 없는 세계'라는 산 정상을 향한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최초의 핵 보유국이 되자"라고 기고했다.[2]

5. 서훈

페리는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와 험브레흐트 앤 퀴스트의 선임 고문으로 이사회에 합류했다.[45]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로 복귀하여 프리먼 스포글리 국제연구소 교수가 되었고, 스탠퍼드 대학교 국제 안보 및 협력 센터 예방 방위 프로젝트 공동 책임자, 스탠퍼드 공과대학 마이클과 바바라 베르베리안 명예교수가 되었다.[46][47]

1999년 코리아 소사이어티로부터 제임스 A. 반 플리트 상을 수상했다.[48]

캘리포니아 커먼웰스 클럽 자문위원회 위원이며, 자일레코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49] 2008년 태국에 본사를 둔 제조 회사 Fabrinet 재무 이사회에 합류했다. 실리콘밸리 생명공학 회사인 테라노스 이사였는데, 이 회사는 파산하기 전에 투자자들로부터 7억달러 이상을 사기 쳤다.[50][51]

2006년 6월 17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공학 및 과학 졸업생들에게 특별 졸업 연설을 했다.[52]

PBS 다큐멘터리 ''실리콘 밸리: 100년의 르네상스''(1998)에서 실리콘 밸리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등장했다.[53]

2008년 10월 16일, 미국 육군사관학교로부터 실바누스 테이어 상을 수상했다.[54]

훈장수여 국가수여 연도비고
대통령 자유 훈장미국1997년[76]
폴란드 공화국 공로 훈장폴란드1996년[http://isap.sejm.gov.pl/DetailsServlet?id=WMP19970140139 폴란드 대통령 1996년 12월 13일 훈장 수여 결정].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대왕 훈장크로아티아1998년[77]
대영 제국 훈장 기사단장영국1998년[76]
욱일대수장일본2002년[76],[79]
국가 공로 훈장프랑스[78]



페리는 2008년 6월 12일 워싱턴 D.C. 포트 레슬리 J. 맥네어에서 열린 국방대학교 졸업식에서 연설했다.

참조

[1] 서적 My Journey at the Nuclear Brink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
[2] 웹사이트 William J. Perry - William J. Clinton Administration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 Historical Office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hs.mil/l[...] 2017-02-07
[4] 웹사이트 FSI {{!}} CISAC - William J. Perry https://cisac.fsi.st[...] CISAC 2018-08-28
[5] 웹사이트 Change of Plans: What Matters Most to Me https://www.uupetalu[...] uupetaluma 2019-11-03
[6] 웹사이트 Preventive Defense Project https://worldwide.ha[...] Harvard Worldwide 2018-08-28
[7] 웹사이트 About William Perry http://www.wjperrypr[...] William J Perry Project 2017-09-18
[8] 웹사이트 William J. Perry Title U.S. Secretary of Defense http://www.nae.edu/A[...]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9] 웹사이트 Secretary of Defense William J. Perry - National Defense University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1996-02-13
[10] 웹사이트 Joseph C. Martz from Los Alamos National Lab named inaugural Perry Fellow http://cisac.stanfor[...]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2009-10-15
[11] 웹사이트 Famous Nonmathematicians http://www.math.uh.e[...] University of Houston
[12] 웹사이트 Dr. William J. Perry Secretary of Defense http://govinfo.libra[...] University of North Texas
[13] 웹사이트 Charting a Technical Revolution: An interview with former DDS&T Albert Wheelon http://www.foia.cia.[...] Studies in Intelligence, CIA
[14] 웹사이트 UNDER SECRETARIES OF DEFENSE Under Secretary of Defense (Research and Engineering) http://www.whs.mil/l[...] whs.mil
[15] 뉴스 Technology-Strategy Seminar: NATO's AirLand Battle Strategy and Future Extended Deterrence https://www.youtub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16] 웹사이트 The Honorable William J. Perry http://www.worldaffa[...] World Affairs Council 2013-01-31
[17] 웹사이트 Appointment of William J. Perry as a Member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on Strategic Forces http://www.reagan.ut[...]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83-02-05
[18] 뉴스 Pentagon Papers Go On And On, And So Do Weapons Problems https://www.chicagot[...] 1986-03-02
[19] 웹사이트 William J. Perry http://www.newameric[...] New American Strategies for Security and Peace 2013-01-31
[20] 뉴스 Perry nominated deputy secretary of defense https://news.stanfor[...] Stanford University News Service 1993-02-03
[21] 뉴스 How a dinner led to a feeding frenzy https://www.washingt[...] 1997-07-03
[22] 뉴스 The Distillation of the Defense Industry https://www.airandsp[...] 1998-07-01
[23] 학술지 The Myth of the Specialized Military Contractor https://www.lehigh.e[...] 1995-04
[24] 뉴스 'The last supper': How a 1993 Pentagon dinner reshaped the defense industry https://www.wbur.org[...] 2023-03
[25] 뉴스 Perry Is Sworn In as Defense Secretary : Military: Aspin's deputy takes oath same day Senate votes, 97 to 0, to back nominatio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4-02-04
[26] 웹사이트 Remarks on Presenting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to Secretary of Defense William J. Perry at Fort Myer, Virginia http://www.gpo.gov/f[...]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7-01-14
[27] 뉴스 Perry Sets $80-Million Upgrade For F-14 Jet https://www.latimes.[...] 1996-03-17
[28] 웹사이트 Perry Pushes Preventive Defense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1996-05-29
[29] 웹사이트 Secretary of Defense William J. Perry Commonwealth Club of California and World Forum of Silicon Valley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1996-02-23
[30] 웹사이트 Preventive Defense Project- Project Ongoing research http://cisac.stanfor[...]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31] 웹사이트 Former Defense Secretary William Perry Roundtable Discussion Today At CU-Boulder http://www.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2007-11-09
[32] 뉴스 Change at the Pentagon; Aspin Resigns from Cabinet; President Lost Confidence in Defense Chief, aides say https://www.nytimes.[...] 1993-12-16
[33] 웹사이트 Snapshots of the New Budget http://www.airforce-[...] 1994-04
[34] 뉴스 Armed Services Would Hold Line On Spending -- $263.7 Billion Called 'Bottom Line' https://archive.seat[...] 1994-02-07
[35] 웹사이트 FY 1996-97 Defense Budget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36] 웹사이트 William J. Perry February 3, 1994 - January 23, 1997 19th Secretary of Defense Clinton Administration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37] 비디오 F.Y. '96 Defense Budget https://www.c-span.o[...] 1995-02-06
[38] 문서 Specifications & Standards - A New Way of Doing Business https://elsmar.com/C[...] SAE International 2001-01-07
[39] 뉴스 Meet The Largest Defense Contractors On Earth https://247wallst.co[...] 2024-06-09
[40]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41] 웹사이트 Chronology of U.S.-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Diplomacy https://www.armscont[...] 2022-05-17
[42] 뉴스 In Africa, Bill Clinton Toils for a Charitable Legacy https://www.nytimes.[...] 2012-09-04
[43] 웹사이트 Ambush in Mogadishu: Transcript https://www.pbs.org/[...] PBS
[44] 서적 The Building: A Biography of the Pentagon https://books.google[...] Voyageur Press 2008-10-03
[45] 뉴스 Ex-Defense Chief to Join Hambrecht Board https://www.nytimes.[...] 1997-03-22
[46] 웹사이트 Video: William J. Perry on energy, national security and technology https://engineering.[...] 2016-06-09
[47] 웹사이트 William J. Perry https://cisac.fsi.st[...] 2016-06-09
[48] 웹사이트 James A. Van Fleet Award https://www.koreasoc[...]
[49]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y https://www.xyleco.c[...] Xyleco 2019-01-09
[50] 서적 Bad Blood: Secrets and Lies in a Silicon Valley Startup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2018
[51] 웹사이트 A singular board at Theranos http://fortune.com/2[...] Fortune 2014-06-12
[52] 웹사이트 UC Santa Barbara to Graduate 4,800 Students This Month https://www.news.ucs[...] 2006-06-03
[53] 웹사이트 Silicon Valley Historical Association https://www.siliconv[...]
[54] 웹사이트 Former defense secretary to receive honor at Point https://www.recordon[...]
[55] 웹사이트 A Hiroshima for Global Peace" Plan - Formulation Project (outline of the project) http://www.pref.hiro[...]
[56] 웹사이트 Aya Kano, Hiroshima Prefecture's "Global Peace" Plan http://www.hiroshima[...]
[57] 웹사이트 The William J. Perry Project https://www.wjperryp[...]
[58] 저널 A Stark Nuclear Warning http://www.nybooks.c[...] 2016-07-14
[59] 뉴스 A Stark Nuclear Warning https://www.nybooks.[...] New York Review of Books 2016-07-14
[60] 뉴스 Why It's Safe to Scrap America's ICBMs https://www.nytimes.[...] 2016-09-30
[61] 뉴스 Opinion: Why It's Safe to Scrap America's ICBMs (Published 2016) https://www.nytimes.[...] 2016-09-30
[62] 웹사이트 Congressman Lieu & Senator Markey Introduce the Restricting First Use of Nuclear Weapons Act https://lieu.house.g[...] 2016-09-27
[63] 웹사이트 Nukes: The Broadcast https://www.wnycstud[...]
[64] Wikidata
[65] 문서 pp. 208-209
[66] 문서 pp. 209-210
[67] 문서 p. 210
[68] 문서 pp. 210-213
[69] 문서 pp 213-214
[70] 문서 pp. 214-215
[71] 문서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뉴스 All 10 living former defense secretaries: Involving the military in election disputes would cross into dangerous territory https://www.washingt[...] 2021-01-03
[76] 웹사이트 Perry bio http://www.stanforda[...]
[77] 웹사이트 http://narodne-novin[...] 1998-03-09
[78] 웹사이트 Perry bio http://www.spoke.com[...]
[79] 뉴스 2002年秋の叙勲 勲三等以上と在外邦人、外国人叙勲の受章者一覧 読売新聞 2002-11-03
[80] 저널 신라 왕위계승원리에 대한 서말의 자료를 꿰어낸 저서 http://dx.doi.org/10[...] 2016-10-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